본문 바로가기

letter
주목할만한 보고서

유치원과 어린이집 물리적 환경 격차완화를 위한 정책과제(육아정책연구소. 2020.08)

육아정책연구소-이슈페이퍼 2020-06호 유치원과 어린이집 물리적 환경 격차 완화를 위한 정책과제(최종).pdf
0.91MB

 

 

요 약 

∙ 유치원과 어린이집은 영유아가 가정을 떠나 집단생활을 경험하는 최초의 기관으로 가정 다음
으로 중요한 공간이기 때문에 유치원과 어린이집 물리적 격차 완화를 통하여 유아교육과 보육의
질적 격차 완화 노력이 필요함.
∙ 유치원과 어린이집 이원화로 적용되는 시설・설비 관련 법령이 다르므로, 결과적으로 규모, 건물,
층수, 설치 실, 놀이터, 안전시설 등 물리적 환경 실태에서 차이가 있음.
∙ 교사들은 유치원과 어린이집 물리적 환경 차이의 원인에 대해 설립유형과 기관규모 차이에 의한
것이라고 인식하는 정도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유치원과 어린이집 간의 차이와 지역별
차이, 설립연도별 차이 순이었음.
∙ 유치원과 어린이집 물리적 환경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학부모가 선호하는 환경, 안전에
대한 우려 정도, 기관장의 교육・보육 철학, 교육・보육과정 운영 프로그램 순으로 나타남.
∙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물리적 환경의 질을 평가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는 교실과 보육실 구성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교실과 보육실의 면적, 실외놀이터 유무, 실외놀이터
구성 순으로 나타남.
∙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물리적 환경 중 가장 먼저 개선할 점은 좁은 교실 및 보육실이었고,
그 다음으로 실외놀이터의 획일적 구성, 성인을 위한 공간 미배정, 낮잠실・급식실・놀이공간의
비분리 순으로 나타남.
∙ 물리적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은 물리적 환경을 위한 재정 지원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유치원과 어린이집 신축 시 유아교육 및 보육 전문가 참여, 유치원과 어린
이집 면적에 대한 법적 최소기준 상향 조정, 지역사회 시설 공유 시스템 구축 순이었음.
∙ 이상의 결과에 따라 정책 방향과 정책 지원 방안을 제시함.

 

* 본고는 육아정책연구소의 연구보고서인 「유치원과 어린이집 격차 완화를 위한 

로드맵 연구(Ⅰ): 물리적 환경을 중심 으로(김은영・강은진・김혜진・최혜영, 2019)」의 내용 중 일부를 발췌하여 정리한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