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etter
주목할만한 보고서

코로나19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은행, 2020.11)

코로나19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은행).pdf
0.92MB

우리나라의 근원물가 상승률(전년동기대비)은 금년 1~2월 중 0%대 중후반 수준을 나타내다가 코로나19 발생 이후 0%대 초반 수준으로 상당폭 하락하였다. 일반적으로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불확실성 증대, 사회적 거리두기 및 대면접촉 기피는 총수요를 감소시킴으로써 물가상승률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반면 공급망 교란과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이동제한조치로 생산 차질이 발생할 경우 물가상승률이 높아질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물가에 영향을 줄 정도의 생산 차질이 발생하지 않은 가운데, 감염병 확산의 영향으로 여행·숙박·외식 등 대면 서비스를 중심으로 수요가 크게 위축된 데다 코로나19 대응 정부정책도 대체로 물가하방압력으로 작용하면서 물가상승률이 상당폭 둔화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고는 Shapiro(2020)의 방법을 원용하여 코로나19가 근원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근원물가를 코로나19 충격에 대한 반응을 기준으로 코로나 민감·비민감 물가 및 수요민감·공급민감 물가로 분류한 후 이를 활용하여 코로나19가 주로 어떠한 경로를 통해 근원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코로나19는 대체로 부정적 수요충격으로 작용하면서 근원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확산 이후의 근원인플레이션 하락은 대부분 코로나 민감물가, 특히 수요민감물가의 상승률 둔화에 기인하였으며, 이러한 수요민감물가의 상승률 둔화는 상품보다는 서비스 품목에서 뚜렷한 모습이다.

 

이상의 분석결과에 비추어 볼 때, 코로나19의 영향은 수요민감물가에 잘 반영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수요민감물가 상승률은 코로나19 확산 이후 빠르게 둔화되었다가 5월 이후 감염병 확산세가 다소 진정되면서 점차 높아지는 모습이다. 향후 코로나19의 전개 양상에 따라 코로나19의 물가에 대한 영향이 달라질 수 있는 만큼 수요민감물가를 활용하여 코로나19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지속적으로 점검해 나갈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