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etter
주목할만한 보고서

저밀도 경제 기반의농촌산업 활성화 방안(농촌경제연구원. 2020.6)

http://www.krei.re.kr/krei/researchReportView.do?key=67&pageType=010101&biblioId=522141

 

연구보고서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요약문 OECD는 ‘저밀도 경제(Low-density economy)’논의와 사례 연구를 통해, 낙후된 농촌지역에서도 지역 특성에 부합하는 전문화된 산업 육성으로 지역 발전과 국가 경제 성장에 기여할 수 있음을

www.krei.re.kr

연구 배경
○ OECD ‘저밀도 경제(low-density economy)’ 논의는 2000년대 중반 금융위기 이후 농촌을 비롯한 주변부 지역에서 산업이 성장하면서, 각국의 경제 회복을 견인한 것에 주목한다. 저밀도 경제 성장 사례들은 산업 기반이 열악한 농촌
및 주변부 지역에서 새로운 산업의 출현과 성장 가능성을 통해 국가 산업 발전 에 기여하는 농촌의 발전 잠재력을 보여준다. 동시에 기존 1차산업 중심의 농 촌산업정책 대신 경쟁우위를 창출할 수 있는 다양한 지역 기반산업 육성으로
농촌 정책 전환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지역의 불리함을 극복하기 위한 저밀도 경제 성장 전략으로 교역가능한 부문의 확보, 도·농 파트너십 구축, 정책 부문 간 연계, 다층적 거버넌스 구축을 제시한다.
○ 이 연구에서는 OECD 저밀도 경제 논의에 따라 우리나라 농촌산업 출현 및 성 장 과정, 주요 저밀도 경제 성장 사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농촌산업 육성 전 략에 기초하여 농촌의 불리한 산업 입지 조건을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산업 성
장을 위한 농촌산업정책의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를 위해 OECD 저밀도 경제 논의의 주요 내용을 정리하고 우리나라 농촌산 업정책의 시사점을 파악하였다. 우리나라 농촌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지역산 업의 성장 추세를 분석하였으며, OECD 저밀도 경제 논의에 기초한 지역 유형
별 산업 성장 과정의 특성을 주요 사례 지역을 통해 확인하였다. 기존 농촌산 업정책 및 지역산업 육성 정책의 성과와 한계를 분석하고 저밀도 경제 입지 기 업들의 생산활동 특성과 정책 수요를 정리하여, 저밀도 경제 성장을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를 도출하였다.